맥스웰-볼츠만 분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주어진 온도에서 입자들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확률 분포로, 기체 운동 이론의 기초를 형성하며 기체의 압력, 확산 등 기본적인 성질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 분포는 통계 역학을 통해 유도되며, 양자 효과가 무시되는 계에서 모든 속도 분포 가능성에 대응한다.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속도, 운동량, 에너지의 분포를 설명하며, 2차원 및 n차원 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다. 1860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에 의해 처음 유도되었고, 이후 루드비히 볼츠만이 기계적 근거와 통계 열역학의 틀 내에서 재유도했다.
맥스웰-볼츠만 분포 곡선은 주어진 온도에서 입자들이 속도에 따라 어떻게 분포되는지를 보여준다. 매우 적은 수의 입자들만이 매우 낮거나 높은 에너지를 가지며, 대부분의 입자들은 그 사이의 평균 에너지 근처에 분포한다.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 장벽을 넘어야 한다. 입자 수가 증가하면 반응 물질의 농도가 증가하고, 더 높은 활성화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기체의 압력, 확산과 같은 기본적인 성질을 설명하는 기체 운동론의 기초를 형성한다.[7] 이 분포는 기체에서 분자 속도의 분포뿐만 아니라 속도, 운동량, 분자 운동량의 크기 등 서로 다른 확률 분포 함수를 나타낸다.
평면에 갇혀 움직이는 입자의 경우, 속도 분포는 다음과 같다.
n영어차원 공간에서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7]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개별 입자의 속도가 빛의 속도보다 훨씬 작다고 가정한다. 즉,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은 1860년에 기체 운동론의 분자 충돌과 속도 분포 함수의 특정 대칭성을 기반으로 하여 이 분포를 처음으로 유도하였다.[5][6][11] 맥스웰은 또한 분자 충돌이 평형 상태로 향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초기 주장을 제시했다. 루트비히 볼츠만은 1872년에[12] 기계적 근거를 바탕으로 이 분포를 다시 유도했으며, 기체는 충돌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분포에 가까워진다고 주장했다(H-정리 참조). 그는 나중에(1877년)[13] 통계 열역학의 틀 내에서 이 분포를 다시 유도했다.
2. 특성
에서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카이 분포와 동일하다. 만약 가 파라메터 를 갖는 맥스웰-볼츠만 분포를 따른다면, 다음 식은 카이 분포를 따르게 된다.
: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제곱 평균은 이다. 이므로, 최빈값(모드)은 제곱 평균보다 항상 낮은 기댓값보다도 낮다.
분자의 질량이 크고 온도가 낮을수록 분포는 조밀해지고, 분자의 질량이 작고 온도가 높을수록 분포는 희소해진다.
3.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물리적 응용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통계 역학을 사용하여 유도할 수 있으며, 상호 작용이 없는 입자들로 구성된 계에서 양자 효과가 무시될 때 모든 속도 분포 가능성에 대응한다. 기체 상태에서 분자 간의 내부 반응은 일반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기체 상태의 조건에서 매우 좋은 접근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온층과 공간 플라스마 물리학과 같이 탄성 충돌 조건 등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나, 기체의 양자적 열 파장이 입자 간 거리에 비해 충분히 작지 않을 때는 적용이 어렵다. 또한, 이 이론은 비상대론적 가정에 기초하고 있어 광속을 넘어서는 분자 속도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주지 못한다.
맥스웰의 최초 계산은 세 방향이 같은 방식으로 행동한다고 가정했지만, 볼츠만은 운동 이론을 사용하여 가정을 완화했다.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에너지에 대한 볼츠만 분포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13]
:
여기서 ''N''''i''은 에너지''E''''i''를 가지는 상태''i''에서 겹침 ''gi''를 가지고 평형온도 ''T''를 가지는 분자들의 수이며, ''N''는 계 안에서 가지는 총 분자들의 수가 된다. 그리고 ''k''는 볼츠만 상수가 된다.
다윈-파울러 방법을 사용하면 맥스웰-볼츠만 분포를 정확한 결과로 얻을 수 있다.
3. 1. 운동량 벡터의 분포
이상 기체에서 모든 에너지는 운동 에너지 형태로 나타난다. 질량을 가진 입자의 운동 에너지와 운동량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운동량 벡터 의 크기 제곱이다.
이를 바탕으로, 식 (1)을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
여기서:
의 분포는 운동량 성분 값을 가진 분자를 찾을 확률 밀도 함수 에 비례하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정규화 상수는 분자가 ''어떤'' 운동량을 가질 확률이 1이어야 함을 통해 결정한다. 의 지수 함수를 모든 , , 에 대해 적분하면 다음을 얻는다.
:
따라서 정규화된 분포 함수는 다음과 같다.[7]
:
이 분포는 분산 를 갖는 세 개의 독립적인 정규 분포된 변수 , , 의 곱이다. 또한, 운동량의 크기는 인 맥스웰-볼츠만 분포로 분포된다.
3. 2. 에너지의 분포
를 사용하여 에너지 분포에 대한 식을 유도할 수 있다. 에너지는 정규 분포된 세 운동량 값들의 제곱의 합에 비례하므로, 자유도가 3인 카이 제곱 분포로 나타낼 수 있다.[15]
:
에너지가 정규 분포된 세 운동량 값들의 제곱의 합에 비례할 때, 이 분포를 자유도가 3급인 chi-제곱 분포라 한다.
:
여기서 맥스웰-볼츠만 상수는 기체가 양자 기체로 고려되는 것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
에너지 분포는 다음을 적용하여 찾을 수 있다.
:
여기서 는 에너지 간격에 해당하는 운동량의 무한소 위상 공간 부피이다.
에너지-운동량 분산 관계 4. 2차원 맥스웰-볼츠만 분포
:
이 분포는 평형 상태에 있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스템은 평형 상태에서 시작하지 않는다. 시스템이 평형 상태로 진화하는 것은 볼츠만 방정식에 의해 결정된다. 이 방정식은 단거리 상호 작용의 경우 평형 속도 분포가 맥스웰-볼츠만 분포를 따른다고 예측한다. 900개의 하드 스피어 입자가 직사각형 내에서 움직이도록 제한된 분자 역학(MD) 시뮬레이션에서, 입자들은 완전 탄성 충돌을 통해 상호 작용한다. 시스템은 비평형 상태로 초기화되지만, 속도 분포(파란색)는 2D 맥스웰-볼츠만 분포(주황색)로 빠르게 수렴한다.
5. n차원 공간에서의 맥스웰-볼츠만 분포
:
여기서
속도 분포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7]
:
여기서
다음 적분 결과가 유용하다.[7]
:
\int_{0}^{\infty} v^a \exp\left(-\frac{mv^2}{2k_\text{B} T}\right) dv
&= \left[\frac{2k_\text{B} T}{m}\right]^\frac{a+1}{2} \frac{\Gamma{\left(\frac{a+1}{2}\right)}}{2}
\end{align}
여기서
이 결과를 이용하여 속도 분포 함수의 모멘트를 계산할 수 있다.[7] 평균 속도는 다음과 같다.
:
= \sqrt{\frac{2k_\text{B} T}{m}} \frac{\Gamma{\left(\frac{n+1}{2}\right)}}{\Gamma{\left(\frac{n}{2}\right)}}
제곱근 평균 제곱 속도는 다음과 같다.
:
속도 분포 함수의 미분은 다음과 같다.[7]
:
이를 통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속도(최빈값)는 다음과 같다.
:
6. 한계
7. 역사적 배경
8. 관련 개념
참조
[1]
서적
Statistical Physics
John Wiley & Sons
2008
[2]
서적
Sears and Zemansky's University Physics: With Modern Physics
Pearson, Addison-Wesley
2008
[3]
서적
Encyclopaedia of Physics
VHC publishers
1991
[4]
서적
Principles of Plasma Physics
San Francisco Press, Inc.
1986
[5]
간행물
Illustrations of the dynamical theory of gases. Part I. On the motions and collisions of perfectly elastic spheres. The London, Edinburgh, and Dublin Philosophical Magazine and Journal of Science
https://www.biodiver[...]
1860
[6]
간행물
Illustrations of the dynamical theory of gases. Part II. On the process of diffusion of two or more kinds of moving particles among one another. The London, Edinburgh, and Dublin Philosophical Magazine and Journal of Science
https://www.biodiver[...]
1860
[7]
서적
Basics of Statistical Physics
https://www.worldcat[...]
World Scientific
2013
[8]
서적
College Physics, Volume 1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9]
문서
[10]
문서
[11]
학술지
Maxwell and the normal distribution: A colored story of probability, independence, and tendency towards equilibrium
[12]
문서
Weitere studien über das Wärmegleichgewicht unter Gasmolekülen.
1872
[13]
문서
Über die Beziehung zwischen dem zweiten Hauptsatz der mechanischen Wärmetheorie und der Wahrscheinlichkeitsrechnung respektive den Sätzen über das Wärmegleichgewicht.
1877
[14]
서적
McGraw-Hill Encyclopedia of Physics
McGraw-Hill
1993
[15]
서적
Statistical Thermodynamic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문서
『化学・生命科学系のための物理化学』
[17]
문서
『学術用語集』
[18]
문서
『アトキンス物理化学』
[19]
문서
『アトキンス物理化学』
[20]
문서
『アトキンス物理化学』
[21]
문서
『化学・生命科学系のための物理化学』
[22]
문서
『化学・生命科学系のための物理化学』
[23]
문서
『理工系学生のための化学基礎』
[24]
문서
『理工系学生のための化学基礎』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